분류 전체보기933 HTML + CSS + Script 정리 HTML HTML 1. 구조 2. Tag들 // html문서를 워드처럼 사용 ex> 안녕하세요. 나는 나예요. // 주제 삽입(크기는 숫자가 작을수록 큼 1~6까지 있음). 옵션은 중앙정렬 ex> 졸려 자고싶다. // 수평선 긋기 noshade옵션은 수평선에 음영넣지 않기. 크기는 3 색깔은 빨강. ex> 단락나누기 PS. 문단 위아래로 효과가 들어감. ex> 대성이짱 글자 굵게하기 이렇게 ex> 4조 화이팅 이탤릭체. 글자 기울게하기 이렇게 ex> 글자가 기운다 글자에 밑줄긋기 이렇게 ex> 밑줄을 그어라~ 글자 중간으로 밑줄긋기 스페이스바 효과 한칸 뛰기 을 나타낸다. 단락 들여쓰기 ex> 자야지 타자체로 출력되도록 지정 아래첨자로 출력되도록 지정 위 첨자로 출력되도록 지정 센터 정렬시 .. 2008. 10. 8. meta 다른 페이지로 이동 * http-equiv="refresh" 항목을 이용하여 현재 html문서에서 새로운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content에는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시간과 URL을 지정합니다. 2008. 10. 8. 제곱, 3승 등 작은 숫자가 위쪽에 표시하는 테그 3 n3 2008. 10. 8. [Web 표준] 웹표준 홈페이지 방법론 우리가 사용하는 HTML의 태그들은 구조와 표현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조로는 H1, H2,, UL, LINK, DIV, P 등이다. 이런 것들을 사용하면 모양(표현)도 적당히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H1을 사용하면 보통은 크기가 커지고 두꺼워진다. 그렇다고 해서 H1을 단순히 글씨를 키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H1은 문서의 가장 중요한(또는 가장 상위의) 제목 부분을 표시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지, 그냥 글씨를 키울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다. 이에 반해 B, FONT, BR 등은 문서의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표현요소들이다. 즉 이것들은 아무런 의미는 없지만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만 결정한다. 초기 HTML이 진보하면서 표현 마크업이 담당하던 모양에 대한.. 2008. 10. 8. 이전 1 ··· 219 220 221 222 223 224 225 ··· 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