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ind(Berkeley Internet Name Daemon) 파일 |
|
# vi /etc/hosts
제 도메인. ddiass.pe.kr과 61.78.244.88을 예로 들겠습니다. # vi /etc/hostname ddiass.pe.kr # vi /etc/resolve.conf search ccddiass.pe.kr nameserver 61.78.244.88 # vi /etc/sysconfig/network NETWORKING=yes FORWARD IPV4=no HOSTNAME=ddiass.pe.kr GATEWAY=61.78.244.81 GATEWAYDEV=eth0 이때, FORWARD IPV4=yes라 설정하면 자신의 컴퓨터를 라우터로 사용하겠다는 뜻입니다.#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DEVICE=eth0 USERCTL=no onBOOT=yes BOOTPROTO=none NETMASK=255.255.255.240 IPADDR=61.78.244.88 |
| bind를 설치하고 나면 named.conf, named.rev, named.zone, named.ca파일이 생성됩니다. 위치는 /etc/named.conf, /var/named/localhost.zone, /var/named/named.ca, /var/named/named.local 로 배치합니다. -. name.conf 파일 수정 # vi /etc/named.conf options {
directory "/var/named";
};
zone "." IN {
type hint;
file "named.ca";
};
zone "localhost" IN {
type master;
file "localhost.zone";
allow-update { none; };
};
zone "ddiass.pe.kr" IN {
type master;
file "ddiass.zone";
allow-update{none;};
};
zone "0.0.127.in-addr.arpa" IN {
type master;
file "named.local";
allow-update { none; };
};
zone "244.78.61.in-addr.arpa" IN{
type master;
file "61.78.244.rev";
allow-update {none;};
}; 여기서, ddiass.zone, 61.78.244.rev 파일은 named.conf 파일에 맞게 새로 만듭니다. -. ddiass.zone 파일 수정 # vi /var/named/ddiass.zone @ IN SOA ns.ddiass.pe.kr. root.ddiass.pe.kr. (
1997022700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ns.ddiass.pe.kr.
@ IN A 61.78.244.89
www IN A 61.78.244.89
-. 61.78.244.rev 파일 수정 # vi /var/named/61.78.244.rev @ IN SOA ns.ddiass.pe.kr. root.ddiass.pe.kr. (
1997022700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ns.ddiass.pe.kr.
89 IN PTR ddiass.pe.kr.
89 IN PTR www.ddiass.pe.kr. 쩜(.) 하나라도 소중히 여깁시다~! ^^ |
|
# /etc/rc.d/init.d { start | stop | status | restart | condrestart | reload | probe } |
'서버,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 IP에 도메인을 여러개 셋팅 (0) | 2009.06.09 |
|---|---|
| Unix의 디렉토리 구조 (0) | 2009.06.09 |
| 리눅스 서비스 데몬 설명 (0) | 2009.06.09 |
| rpm, package, pacth 설치 (0) | 2009.06.09 |
| Vi 편집기 명령어 (0) | 2009.06.09 |
| SMTP 서버 릴레이 방지 (0) | 2009.06.03 |
| 우리나라의 컴퓨터 사용량과 인터넷 사용량 (0) | 2009.06.03 |
| 리눅스 netstat로 웹서버 사용자수 구하기 (0) | 2009.05.27 |
제 도메인. ddiass.pe.kr과 61.78.244.88을 예로 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