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28)

  • 2008.10.07
  • 2008.10.07
  • 2008.10.02
  • 2008.09.11
  • list.txt " 라고 하면 list.txt 파일이 생성되면서 그기에 기록이 된다. 이제 list.txt 문서를 에디터플러스 등으로 열어서 불필요한 부분 제거 및 정렬을 하면 필요한 리스트 문서가 뚝딱! 응용하자면 MP3 파일 폴더가..">
  • list.txt " 라고 하면 list.txt 파일이 생성되면서 그기에 기록이 된다. 이제 list.txt 문서를 에디터플러스 등으로 열어서 불필요한 부분 제거 및 정렬을 하면 필요한 리스트 문서가 뚝딱! 응용하자면 MP3 파일 폴더가..">
    2008.09.11
  • 2008.09.09
  • 2008.09.06
  • 2008.06.20
  • 10
    07
    제로보드에서 이미지 업로드시 파일명이 한글로 되어 있는경우 엑박 (깨짐) 처리 되는경우를 방지 하기 위해 아예 파일명을 숫자로 변경해버리는 방법입니다.
     
    수정파일 : write_ok.php
     
    수정위치 :
    이미지 파일이 업로드 2개까지 가능하니 두군데 적용.
     
     
    // 디렉토리를 검사함 <=== 검색 해보시면 두군데가 있을겁니다.
     
       // 디렉토리를 검사함
       if(!is_dir("data/".$id)) {
        mkdir("data/".$id,0777);
        @chmod("data/".$id,0706);
       }
     
    위 코드 다음 줄에 아래와 같이 등록해주시면 됩니다.
     
    1. 첫번째 위치
     
       // 디렉토리를 검사함
       if(!is_dir("data/".$id)) {
        mkdir("data/".$id,0777);
        @chmod("data/".$id,0706);
       }
     
       // 파일명이 한글인 경우 날짜로 변환
       $temp=explode(".",$s_file_name1);
       $file_name_1=$temp[0];
       for($i=0;$i<strlen($file_name_1);$i++) {
        if(ord($file_name_1[$i])>0x80) {
         $temp1=explode(".",$s_file_name1);
         $s_file_name1 = $reg_date."1.".$temp1[1];
         break;
        }      
       }
     
    2. 두번째 위치
     
       // 디렉토리를 검사함
       if(!is_dir("data/".$id)) {
        mkdir("data/".$id,0777);
        @chmod("data/".$id,0706);
       }
       
       $temp=explode(".",$s_file_name2);
       $file_name_2 = $temp[0];
       for($i=0;$i<strlen($file_name_2);$i++) {
        if(ord($file_name_2[$i])>0x80) {
         $temp=explode(".",$s_file_name2);
         $s_file_name2 = $reg_date."2.".$temp[1];
         break;
        }      
       }
    COMMENT
     
    10
    07
    질문:
    session_destroy() 을 쓰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세션두 안 묵구여???

    Warning: session_destroy() [function.session-destroy]: Trying to destroy uninitialized session in
     
    답변:
    위와 같은 경우 대부분 session_destroy(); 함수 사용전 session_start(); 빠트린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참고:
    session_destroy() : 모든 session data를 파괴
    session_unregister("세션명") : 특정 세션만 없애고자 할 때는 을 사용
    COMMENT
     
    10
    02
    Apache 데몬 모니터링을 위한 스크립트
     
    아파치 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면 접속자가 너무 많거나 이상 증상으로 데몬이 죽어 버리는 경우 상시 모니터링 하지 않는 이상 관리자가 확인 하기 전까지 서버는 웹 서비스를 멈추어 버린체 방치하게 된다. 그래서 적어도 한시간 이내에 한번은 데몬이 죽은는지 체크해서 다시 살리는 시스템을 생각하게 된다.
     
    # 적당한 위치에 스크립트 파일 만들기
    cd /usr/local/apache/bin
    vi httpd_check.sh
    #/bin/sh
    DAEMON="httpd"
    COUNT=$(ps acx | grep -c $DAEMON)
    if [ "$COUNT" -gt "0" ]; then
       /usr/local/apache/bin/apachectl restart
    else
       /usr/local/apache/bin/apachectl start
    fi
     
    # 스크립트 파일 실행 권환 주기
    chmod +x httpd_check.sh
     
    # 매 시간마다 위 스크립트 실행되도록 crontab 적용
    crontab -e
    00 * * * * /user/local/apache/bin/httpd_check.sh 
     
    COMMENT
     
    09
    11

    ff.bg.options[bg_frm.bg.selectedIndex].value;
    ff -> 폼 이름
    bg -> 셀렉트박스 이름

    <script>
    function bg_preview() {
     var ff = document.bg_frm;
     var url = ff.bg.options[bg_frm.bg.selectedIndex].value;
     alert(url);
    }
    </script>

    <from name="bg_frm">
     <select name="bg" id="bg">
      <option value="1">1</option>
      <option value="2">2</option>
     </select>
    </form>

    COMMENT
     
    09
    11
    시작 > 실행 > cmd > dir /s /b 폴더명 > list.txt
     
     
    도스 명령어중 dir 을 이용해서 간단히 만들수 있다.
     
    dir /s /b 폴더명
     
    그냥 dir 하면 폴더 안의 내용만 출력된다
     
    따라서 /s 옵션을 주면 하위 디렉토리까지 볼 수 있다.
     
    그런데 출력 결과가 불필요하게 많다.
     
    그래서  /b 옵션을 줘서 간략하게 출력할 수 있다.
     
    dir /? 하면 전체 옵션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웬지 도스창에서 하면으로 뿌려지니 다른용도로 사용하기 불편하다.
     
    그래서 " > list.txt " 라고 하면 list.txt 파일이 생성되면서 그기에 기록이 된다.
     
    이제 list.txt 문서를 에디터플러스 등으로 열어서 불필요한 부분 제거 및 정렬을 하면 필요한 리스트 문서가 뚝딱!
     
    응용하자면 MP3 파일 폴더가 장르별로 또는 영화 파일이 장르별로 폴더와 파일이 엉청 많은 경우 리스트로 만들고 싶다면 위와 같이 만들면 편리하게 만들 수 있음.
     
    초간단 내용을 무지 복잡하게 적은것 같네요 ^^
    COMMENT
     
    09
    09
    /etc/fstab
     
    에는 부팅시 마운트 하는 설정 값이 들어 있습니다.
     
    만약 
    /home 10G
    /home2 20G
     
    였는데 10G 를 /home2 로 20G를 /home2 로 변경하고자 할때
    보통 mv /home /home_bak -> mv /home2 /home -> mv /home_bak /home2
    이런 과정을 생각하실 겁니다. 하지만 아마도
    장치가 사용중입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는경우 마운트 된 폴더라 변경이 안된다는 겁니다.
     
    그럴경우 /etc/fstab 에서 이름을 변경해주고 재부팅하시면 이름이 서로 변경되어 마우트 될겁니다.
    COMMENT
     
    09
    06
    font-size:9pt; //폰트크기
     
    font-weight:bold; //폰트 볼드
     
    text-align:center; //폰트 정렬 (left, center, right)
     
    color:#FFFF00; //폰트컬러
     
    word-spacing:5pt; //단어간 간격 조절
     
    letter-spacing:7pt; //자간 조절
     
    line-height:200%; //줄간격 조절
     
    (%,px,pt 등등 사용가능)
    COMMENT
     
    06
    20
    1. 두개의 이미지중 겹쳐 지는 부분을 투명 처리 하고자 할때
     
    2. 메뉴에 보기 > 도구 모음 > 그림 클릭하면 그림편집 도구가 나타 난다.
     
     
    3. 그림을 선택후 그림 도구에서 투명한 색 설정 아이콘을 클릭후 투명 처리 하고자 하는 색에 클릭한다.
     
    4. 투명 처리 결과
     
     
    COMMENT